
pkg update
@pkgupdt@hl.pkgu.net
https://news.hada.io/topic?id=21391
야, 설치된 앱이 로컬호스트에 리스닝 포트를 열고 웹 방문 시 거기에 WebRTC을 조작해서 정보를 앱으로, 메타로 흘린다, 라. ㅋㅋㅋ
구글이 안드로이드 보안이 iOS에 뒤지지 않는다고 주장하지만, 결국 구글도 광고팔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듯. Brave/DDG 브라우저는 WebRTC 제한이 있어서 피해간 거 같고.
** 안드로이드에 한정된 보안 문제.
유저에게 이 정보 이용 사항에 대한 고지, 동의가 없었기에 EU 외에서도 제재를 받을 수 있는 사안임. 앱이 유저 웹 활동 추적 서버로 기능한지라 정당화할 방법이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