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cRumors.com
@macrumors@mastodon.social
M5 Chip Achieves Impressive Feat in 14-Inch MacBook Pro Speed Test https://www.macrumors.com/2025/10/17/m5-chip-macbook-pro-geekbench-benchmark/?utm_source=dlvr.it&utm_medium=mastodon
@pkgupdt@hl.pkgu.net · 203 following · 152 followers
A hobbyist photographer, football fan and ex software engineer.
This account is for my personal records. I mostly post in Korean, but I can communicate in English and Japanese.
I use #photo #photography #사진 #写真 tags for my photo posts.
@macrumors@mastodon.social
M5 Chip Achieves Impressive Feat in 14-Inch MacBook Pro Speed Test https://www.macrumors.com/2025/10/17/m5-chip-macbook-pro-geekbench-benchmark/?utm_source=dlvr.it&utm_medium=mastodon
@Weird_Willow@pixelfed.social
@pkgupdt@hl.pkgu.net
R8 쓰고 2년쯤 되어가는데, 이제야 좀 내 카메라 같고 대충이나마 쓰는 법?을 알겠다. 나 같은 사람에게는 과분한, 좋은 카메라다.
... 정품 그립 빨리 살 걸. 😇
@pkgupdt@hl.pkgu.net
교토와 이스탄불은 도시 전체가 가득찬 보물창고야. 생각할 때마다 아찔하고 즐거워.
@pkgupdt@hl.pkgu.net · Reply to pkg update's post
물론 범작들도 많지만, 역시 세월과 숫자가 되면 걸작들도 많기 마련이다. 😅
@pkgupdt@hl.pkgu.net
이슬람 미술을 좋아한다. 서예도 좋아하고, 추상을 천 년 넘게 하면 저런 게 되는구나, 언제나 놀랍고 즐겁다.
@pkgupdt@hl.pkgu.net
@yunuki_uta@voskey.icalo.net
ふと思ったけどこのほうが正解だった?
@muldenkind@troet.cafe
Guten Morgen zum #Fensterfreitag
☕🙋🏻♀️
@phoronix@masto.ai
Fedora Cloud Looks To Switch /boot To Btrfs Subvolume
With Fedora 43 releasing in the coming weeks, Fedora stakeholders are beginning to plot their feature ideas for next year's Fedora 44 release. One of the early F44 feature submissions pending approval is switching /boot on Fedora Cloud images to being a Btrfs file-system subvolume...
https://www.phoronix.com/news/Fedora-Cloud-Btrfs-Boot-Subvol
@gaeulbyul@planet.moe
@pkgupdt@hl.pkgu.net
LLM을 잘 다루는 사람은 악덕 매니저거나 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
@me@hollo.woojinkim.org
이야기하다가 AI에게 명령을 내려 결과를 뽑는걸 어려워하시는 분들과 관리자로써 업무지시 및 성과관리가 잘 안되는 분들 사이에 교집합이 클 가능성이 높다는 가설이 나왔다.
@transborder.bsky.social@bsky.brid.gy
[발간되지 않은 이야기들] 성균관대 여성주의 교지 '정정헌', 중앙동아리 지위 강등
등록 2025.10.14. 23:39:23
정정헌, 1·2학기 연속 재등록 부결
회칙에 없는 '사진상 인원 미비'로 부적격 판정
"학내 인권 동아리 전반 존속 어려움" 호소 univalli.com/mobile/artic...
[발간되지 않은 이야기들] 성균관대 여성주의 교지 ‘정...
@mumumuphoto@misskey.io
@tapasinthesun@mastoart.social
Bringing you daily(ish) film photos: Guájar-Fondón
Photo GPS location: https://www.google.com/maps/place/36.834817,-3.57874
Photo technical info:
- Camera: Pentax Spotmatic, Lens: Pentax Takumar 1:2/35mm, f8, 1/125 s
- Film: Ilford Delta 100, Developer: Spur Acurol-N
#photography #believeinfilm #filmphotography #analogphotography #filmisnotdead #blackandwhite #bnw #monochrome #spain...
@nose2k@sharlayan.in
@pkgupdt@hl.pkgu.net
이미지 리사이즈/정리 스크립트 개발 시작한지 한 5개월 정도 되었는데, 단순히 magick 불러오는 powershell script에서 stand alone? python script로 플랫폼도 바뀌고 수많은 기능들이 추가되었다. 점진적 개발론에 따라? 나도 어디로 가는지 모르는채 고치고 또 고친다.(주로 제미나이가 ㅋㅋ)
go나 .net으로의 이전도 알아봤는데, python이 이 시대의 제왕인 이유가 있더라. C++ 코드 라이브러리들이 많아서 속도 개선도 상당한 수준으로 가능하고, process 단위지만 병렬 처리도 가능하고. 무엇보다 많이 쓰니까 바이브 코딩 수준이 높고, 라이브러리도 막강하다.
개인 용도, 로우 스케일 개발에서 python이 아니어야 할 이유가 별로 없다. 리소스 제한이 심하거나 코루틴 빡세게 돌려야 하거나 하는 정도가 아니면, 지금은 python이다.
@pkgupdt@hl.pkgu.net
일본 빅카메라에서 파는 렌즈 클리너 천 중에 도레이씨를 사용한 조금 두껍고 큰 천 시리즈들(PB였던 것으로 기억)이 있는데, 지금까지 쓴 천들 중에서는 제일 만족스러웠습니다. 가격대가 좀 있지만 사와서 선물로 돌리기도 괜찮았어요. 렌즈도 닦고 안경도 닦고 모니터도 닦고 쓸모가 많습니다. 일본 빅카메라에 들르실 일이 있으면 한 번 구해보시길 권합니다.
@opensuse@fosstodon.org
New to #openSUSE or troubleshooting something? The openSUSE #Forums are your go-to place for #community help, tips and discussion. Explore, ask, and #contribute. https://forums.opensuse.org/
@hanibsky.bsky.social@bsky.brid.gy
최근 ‘아무 것도 하지 않기’가 새로운 치유법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젊은 세대들을 중심으로 ‘의도적인 게으름’을 통해 끊임없는 자극과 번아웃으로부터 벗어나 회복을 경험하고 있는 것입니다.
“게으름이 ‘최고의 약’…지루해야 뇌가 회복된다” [건...
@jejuorange.bsky.social@bsky.brid.gy
한국 애플, 아이폰 에어에서 없어졌던 아 🤏가 아이패드 프로 M5 에선 부활했다고. 누군지 부끄러움을 아는 사람이 한 명은 있었나보다.
@server_destroyer@iqhina.org
하하하하하...
벽조목의 수요는 많은데 진짜 벼락맞은 대추나무는 극소수이므로 근대에 와서 고안해 낸 것이 일단 고압전류로 전기충격을 가한 다음 초고압으로 나무를 압축하고 태우는 방법이었다. 진짜 벼락을 맞은 나무는 순간적인 고열로 수축되어 비중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아무튼 이와 비등한 결과를 얻으려고 고압전기 충격, 초고압 압축과 태우기, 색소 첨가 등 여러 방법을 동원하여 물에 넣으면 가라앉는 양질의 인공벽조목을 생산하게 된 것이다
@pkgupdt@hl.pkgu.net · Reply to dec_alpha's post
@decalpha.bsky.social 맞는 말씀입니다만, 사람 마음이 참... 간사하죠. 😅😇
@pkgupdt@hl.pkgu.net · Reply to pkg update's post
대충 24~33백만 화소면 현재로서는 좋은 카메라고, 기회가 되면 40백만 이상급이면 좋겠죠. 이제 그럼 렌즈와 스토리지, 현상까지 모든 면에서 다른 판형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부담이 커지지만. 😅😭😇
@pkgupdt@hl.pkgu.net
소니 FX2가 나왔을 때, 유튜버, 취미가들은 구형 센서 썼다고 불만이 많았지만 실제 현장 경력의 전문가 한 분은 이제야 DCI 4K 해상력 제대로 뽑히는 보급형? 기기 나왔다고 매우 반기는 걸 보고 참, 카메라도 쉬운 취미가 아니구나 싶었습니다.
@pkgupdt@hl.pkgu.net
계산해보면, 4K UHD 모니터 기준으로 해상력을 제대로 뽑으려면 3:2 포맷 기준 최소 18~24백만 화소, 권장 28~40백만 화소의 카메라가 필요합니다. 디스플레이 비율이 16:9이므로 사진을 잘라볼 거냐, 모니터에 레터 박스를 둘 거냐에 따라 필요 화소수 범위가 정해집니다.
물론 이건 이론상, 그리고 DSLR 시절 경험상으로 나온 비율에 따른 데이터라 기술이 더 발전한 현재에는 더 적어도 사실상 문제는 없습니다. 폰카면 다른 문제가 더 크고요.;
그래서 저도 24MP 카메라 사진을 전송할 때는 6MP로 줄여서 보냅니다. 그 정도면 컨수머에서 화질이 부족하지는 않죠. SNS 올릴 때는 2.4MP 정도가 기준이네요.
@pkgupdt@hl.pkgu.net · Reply to dec_alpha's post
@decalpha.bsky.social 이론상으로는 UHD 4K 디스플레이에서 베이어 패턴으로 해상력을 최대한 뽑아내려면 33백만 화소 정도 카메라가 필요하기는 합니다. 물론 이론적, 예전 기술에서의 경험적 기준 수치라서 지금은 24백만이어도 충분합니다만 높아서 나쁠 건 없죠. 😅
@pkgupdt@hl.pkgu.net
AI 사진 편집이 저해상도에서는 쓸만하게 나오네. 좀더 이리저리 시도해봐야겠다.
@Cloveraid@greenfield.masto.host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510110014
AI보다는 사람들로부터 도망간다는 느낌이긴 한데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