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kg update
@pkgupdt@hl.pkgu.net
https://www.asahi.com/articles/ASTBB2FC6TBBUTFK00ZM.html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종전 80주년 소감 전문 기사 링크. 일본 보수가 바라본 구일본제국 패망사의 훌륭한 축약이라 생각하여, 제미나이 초벌 번역본을 타래로 올립니다.
@pkgupdt@hl.pkgu.net
https://www.asahi.com/articles/ASTBB2FC6TBBUTFK00ZM.html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종전 80주년 소감 전문 기사 링크. 일본 보수가 바라본 구일본제국 패망사의 훌륭한 축약이라 생각하여, 제미나이 초벌 번역본을 타래로 올립니다.
@pkgupdt@hl.pkgu.net · Reply to pkg update's post
(서문) 지난 대전 종결로부터 80년이 지났습니다.
이 80년간 우리나라는 일관되게 평화 국가로 걸어왔으며,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해 힘써왔습니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평화와 번영은 전몰자를 비롯한 여러분들의 숭고한 생명과 고난의 역사 위에 세워진 것입니다.
저는 3월 이오지마(硫黄島) 방문, 4월 필리핀 칼릴라야(カリラヤ)의 필리핀 전몰자 위령비 방문, 6월 오키나와 전몰자 추도식 참석 및 히메유리 평화기념자료관 방문, 8월 히로시마, 나가사키 원폭 희생자 위령식 참석, 종전기념일 전국 전몰자 추도식 참석을 통해 지난 대전의 반성과 교훈을 다시금 깊이 가슴에 새길 것을 맹세했습니다.
지금까지 전후 50년, 60년, 70년 고비마다 내각총리대신 담화가 발표되었으며, 역사 인식에 관한 역대 내각의 입장에 대해서 저 또한 이를 계승하고 있습니다.
과거 세 차례의 담화에서는 왜 그 전쟁을 피할 수 없었는지에 대해서는 그다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전후 70년 담화에서도 일본은 "외교적, 경제적인 난국을 무력 행사로 해결하려고 시도했습니다. 국내의 정치 시스템은 그 제동 역할을 할 수 없었습니다"라는 구절이 있지만, 그 이상의 상세한 내용은 논의되지 않았습니다.
국내의 정치 시스템은 왜 제동 역할을 할 수 없었던 것일까요?
제1차 세계대전을 거쳐 세계가 총력전 시대로 접어든 가운데, 개전 전에 내각이 설치한 '총력전연구소'나 육군성이 설치한 이른바 '아키마루 기관(秋丸機関)' 등의 예측에 따르면 패전은 필연적이었습니다. 많은 식자(識者)들도 전쟁 수행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정부 및 군부의 수뇌부도 그것을 인식하면서도, 어째서 전쟁을 회피하려는 결단을 내리지 못한 채 무모한 전쟁으로 치달아 국내외의 수많은 무고한 생명을 희생시키는 결과가 되었을까요? 요나이 미쓰마사(米内光政) 전 총리의 "점진적인 가난을 피하려다가 급격한 가난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달라"는 지적도 있었는데, 어째서 큰 노선을 재검토하지 못했던 것일까요?
전후 80년의 고비에 국민 여러분과 함께 생각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