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 Reply to pkg update's post

(미디어의 문제)

또 하나, 경시해서는 안 될 것은 미디어의 문제입니다.

1920년대 미디어는 일본의 대외 팽창에 비판적이었고, 저널리스트 시절의 이시바시 단잔(石橋湛山)은 식민지를 포기해야 한다는 논지를 펼쳤습니다. 그러나 만주사변이 일어났을 무렵부터 미디어의 논조는 적극적인 전쟁 지지로 바뀌었습니다. 전쟁 보도가 '팔렸기' 때문이며, 각 신문은 발행 부수를 크게 늘렸습니다.

1929년 미국의 대공황을 계기로 구미 경제는 크게 타격을 입었고, 국내 경제 보호를 이유로 고관세 정책을 취했기 때문에 일본의 수출은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심각한 불황을 배경 중 하나로 내셔널리즘이 고양되었고, 독일에서는 나치가, 이탈리아에서는 파시스트당이 대두했습니다. 주요국 중에서 소련만이 발전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고, 사상계에서도 자유주의, 민주주의, 자본주의 시대는 끝났고, 미영 시대는 끝났다는 논조가 확산되어 전체주의나 국가 사회주의를 받아들이는 토양이 형성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동군 일부가 만주사변을 일으켜 불과 1년 반 만에 일본 본토의 몇 배에 달하는 땅을 점령했습니다. 신문은 이를 대대적으로 보도했고, 많은 국민은 이에 현혹되어 내셔널리즘은 더욱 고조되었습니다.

일본 외교에 대해 요시노 사쿠조(吉野作造)는 만주사변에서의 군부 움직임을 비판했고, 기요사와 기요시(清沢洌)는 마쓰오카 요스케(松岡洋右)에 의한 국제연맹 탈퇴를 엄격하게 비판하는 등 일부 날카로운 비판도 있었으나, 그 후 1937년 가을 무렵부터 언론 통제 강화로 정책에 대한 비판은 봉쇄되었고, 전쟁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논조만이 국민에게 전달되게 되었습니다.

(정보 수집·분석의 문제)

당시 정부를 비롯한 우리나라가 국제 정세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도 되짚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독일과의 사이에 소련을 대상으로 하는 군사 동맹을 협상하는 가운데, 1939년 8월 독소 불가침조약이 체결되자 당시 히라누마 기이치로(平沼騏一郎) 내각은 "유럽 천지는 복잡 기괴한 신정세를 낳았다"며 총사직합니다. 국제 정세, 군사 정세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는지, 얻은 정보를 올바르게 분석할 수 있었는지, 적절하게 공유할 수 있었는지 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 Reply to pkg update's post

(오늘날의 교훈)

전후 일본에서는 문민통제가 제도적으로 정비되어 있습니다. 일본국 헌법상 내각총리대신 및 기타 국무대신은 문민이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자위대는 자위대법상 내각총리대신의 지휘 하에 놓여 있습니다.

내각총리대신이 내각의 수장이라는 것, 내각은 국회에 대해 연대하여 책임을 진다는 것이 일본국 헌법에 명기되어 내각의 통일성이 제도적으로 확보되었습니다.

더 나아가 국가안전보장회의가 설치되어 외교와 안전보장의 종합 조정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정보 수집·분석에 관한 정부의 체제도 개선되고 있습니다. 이들은 시대에 따라 더욱 진전이 요구됩니다.

정치와 군사를 적절히 통합하는 구조가 없고 통수권 독립이라는 이름 아래 군부가 독주했다는 과거의 쓰라린 경험을 바탕으로 제도적인 조치가 이루어졌습니다. 한편, 이들은 어디까지나 제도이며, 적절히 운용되지 않으면 그 의미를 이루지 못합니다.

정치 측은 자위대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과 식견을 충분히 갖추어야 합니다. 현재의 문민통제 제도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적절히 운용해 나가는 부단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무책임한 포퓰리즘에 굴하지 않고, 대세에 휩쓸리지 않는 정치가로서의 긍지(矜持)와 책임감을 가져야 합니다.

자위대에는 우리나라를 둘러싼 국제 군사 정세나 장비, 부대 운용에 대해 전문가 집단으로서의 입장에서 정치에 대해며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의견을 진술하는 것이 요구됩니다.

정치에는 조직의 수직적 분할을 넘어 통합할 책무가 있습니다. 조직이 할거하고 대립하여 일본의 국익을 놓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육군과 해군이 서로의 조직 논리를 최우선으로 하여 대립하고, 심지어 그 내부에서조차 군령과 군정이 연계를 결여하여 국가로서의 의사를 일원화하지 못한 채 나라 전체가 전쟁으로 이끌려 갔던 역사를 교훈으로 삼아야 합니다.

정치는 항상 국민 전체의 이익과 복지를 생각하고, 장기적인 시각에 입각한 합리적 판단을 유념해야 합니다. 책임 소재가 명확하지 않고 상황이 난국에 처할 때는 성공 가능성이 낮고 고위험이더라도 용감한 목소리, 대담한 해결책이 받아들여지기 쉽습니다. 해군의 나가노 오사미(永野修身) 군령부 총장은 개전을 수술에 비유하며 "상당히 걱정되지만, 이 큰 병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큰 결심으로 국난 배제에 결의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싸우지 않으면 망국이라고 정부는 판단했지만, 싸우는 것도 또한 망국으로 이어질지 모릅니다. 그러나 싸우지 않고 나라가 망했을 경우는 영혼까지 잃은 진정한 망국입니다"라고 말했으며, 도조 히데키(東條英機) 육군대신도 고노에 후미마로(近衛文麿) 총리에게 "인간은 때로는 기요미즈데라 무대(清水の舞台)에서 눈을 감고 뛰어내리는 것도 필요하다"고 압박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처럼 냉정하고 합리적인 판단보다 정신적·감정적인 판단이 중시됨으로써 나라가 나아가야 할 진로를 잘못 들었던 역사를 반복해서는 안 됩니다.

정부가 잘못된 판단을 하지 않도록 제동 역할을 하는 것이 의회와 미디어입니다.

국회는 헌법에 의해 주어진 권능을 행사함으로써 정부 활동을 적절히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됩니다. 정치는 일시적인 여론에 영합하고 인기 위주 정책에 움직여 국익을 해치는 당리당략과 자신의 보신에 결코 치달아서는 안 됩니다.

사명감을 가진 저널리즘을 포함한 건전한 언론 공간이 필요합니다. 지난 대전에서도 미디어가 여론을 부추겨 국민을 무모한 전쟁으로 유도하는 결과가 되었습니다. 과도한 상업주의에 빠져서는 안 되며, 편협한 내셔널리즘, 차별이나 배외주의(排外主義)를 용납해서는 안 됩니다.

아베 전 총리가 숭고한 목숨을 잃은 사건을 포함하여 폭력에 의한 정치의 유린, 자유로운 언론을 위협하는 차별적 언사는 결코 용납할 수 없습니다.

이 모든 것의 기반이 되는 것은 역사에서 배우려는 자세입니다. 과거를 직시하는 용기와 성실함, 타인의 주장에도 겸허하게 귀 기울이는 관용을 가진 본래의 리버럴리즘, 건전하고 강인한 민주주의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윈스턴 처칠이 간파했듯이, 민주주의는 결코 완벽한 정치 형태가 아닙니다. 민주주의는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하며, 때로는 실수를 저지르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항상 역사 앞에서 겸허해야 하며, 교훈을 깊이 가슴에 새겨야 합니다.

자위와 억지에서 실력 조직을 보유하는 것은 극히 중요합니다. 저는 억지론을 부정하는 입장에 설 수 없습니다. 현하의 안전보장 환경 하에서 그것이 책임 있는 안전보장 정책을 수행하는 현실입니다.

동시에 그 나라에서 비할 바 없는 힘을 가진 실력 조직(무장 조직)이 민주적 통제를 넘어 폭주한다면 민주주의는 한순간에 붕괴될 수 있는 취약한 것입니다. 한편, 문민인 정치가가 판단을 그르쳐 전쟁으로 치달아가지 않을 리도 없습니다. 문민통제, 적절한 정군(政軍) 관계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정부, 의회, 실력 조직, 미디어 모두가 이를 항상 인식해야 하는 것입니다.

사이토 다카오 의원은 반군 연설에서 세계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이며, 정의가 승리하는 것이 아니라 강자가 약자를 정복하는 것이 전쟁이라고 논했고, 이를 무시하고 성전(聖戦)의 미명에 숨어 국가 백년의 대계를 그르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리얼리즘에 입각한 정책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중의원에서 제명되었습니다.

이듬해 중의원 방공법 위원회에서 육군성은 공습 시 시민이 피난하는 것은 전쟁 계속 의지의 파탄이 된다고 말하며 이를 부정했습니다.

둘 다 먼 과거의 일이지만, 의회의 책무 포기, 정신주의의 만연과 인명·인권 경시의 무서움을 전하고도 남음이 있습니다. 역사와 정면으로 마주하지 않고서는 밝은 미래를 열 수 없습니다. 역사에서 배우는 중요성은 우리나라가 전후 가장 엄격하고 복잡한 안전보장 환경에 놓여 있는 지금이야말로 재인식되어야 합니다.

전쟁의 기억을 가진 사람들의 수가 해마다 줄어들어 기억의 풍화가 우려되는 지금이야말로, 젊은 세대를 포함한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지난 대전과 평화의 모습에 대해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장래에 활용함으로써 평화 국가로서의 초석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 믿습니다.

저는 국민 여러분과 함께 지난 대전의 여러 교훈을 바탕으로, 다시는 그러한 참화를 반복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는 한 모든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2025년 10월 10일

내각총리대신

이시바 시게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