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kg update
@pkgupdt@hl.pkgu.net · Reply to pkg update's post
50mm F1.8의 개방(F2.8 정도) 화질에 아쉬움이 있긴 한데, 그렇다고 F1.4는 렌즈가 커지고, 소니처럼 F2.5의 고화질 소형 렌즈가 있다면 모를까 캐논에서 이동할 렌즈는 아직 없음. 빌트록스 50mm F2가 좋다던데 그거 RF로 나오면 한 번 써보기는 할 거 같음.
@pkgupdt@hl.pkgu.net · 137 following · 100 followers
A hobbyist photographer, football fan and ex software engineer.
This account is for my personal records. I mostly post in Korean, but I can communicate in English and Japanese.
I use #photo #photography #사진 #写真 tags for my photo posts.
Bluesky | Blog/Profile | 500px | |
---|---|---|---|
@pkgu.net |
@pkgupdt@hl.pkgu.net · Reply to pkg update's post
50mm F1.8의 개방(F2.8 정도) 화질에 아쉬움이 있긴 한데, 그렇다고 F1.4는 렌즈가 커지고, 소니처럼 F2.5의 고화질 소형 렌즈가 있다면 모를까 캐논에서 이동할 렌즈는 아직 없음. 빌트록스 50mm F2가 좋다던데 그거 RF로 나오면 한 번 써보기는 할 거 같음.
@pkgupdt@hl.pkgu.net
캐논도 20-70 F4 스펙의 렌즈를 내줬으면 좋겠다. 근데 그거 나와도 지금 쓰고 있는 28+50 콤보를 대신 살 것인가 하면 그건 좀... 고민.;
28mm F2.8 + 50mm F1.8 구성이면 망원 빼고는 별로 아쉽지가 않다. 망원은 70-150 STM 나오는 거 보고 하나 추가할 예정.
망원 잘 안 쓰긴 하는데, 또 없으면 아쉬울 때가 있어서... 그 돈으로 걍 고화소 바디 사서 크롭할 수도 있긴 한데. ㅋㅋㅋ;
@pkgupdt@hl.pkgu.net
아크로폴리스에서 내려다 본 아테네 시내 전경.
좀 심심한가 싶어서 색도(Chromaticity)를 끌어올렸더니 건물들이 장난감 블럭처럼 보인다.
참 색이란 어렵다. 😅
@pkgupdt@hl.pkgu.net
요즘 종이책은 사진집 위주로 구입 중.
명작 사진은 뭘로 보던 대단하지만, 그 진가는 역시 공식? 프린트에서 잘 드러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아직 갈 길이 멀다.
@pkgupdt@hl.pkgu.net
sRGB의 좁은 녹색역은 나 같이 식물 많이 찍는 사람에게는 큰 장애물이다.
이 사진도 찍어 놓고 몇년째 맘에 드는 현상을 못하고 있는 과제. 결국 AdobeRGB나 DCI-P3로 이전해야 하겠지만, 아직은.
@altocicada@mstdn.jp
田と傾く夏の陽射し
#マストドン写真部 #photography #PowerShotV1
@atLuminon@byeolvit.space
지어 올림.
📸 : SONY α6700, Light Lens Lab 35mm F 2 "8 Element"
🏙️ : Guil Station, Seoul, Korea Rep.
#사진토돈 #사진 #Photography #写真 #マストドン写真部 #Misskey写真部 #마스토돈사진부 #미스키사진부
@icekave@serafuku.moe
현재속의 과거
#사진토돈 #미스키사진부 #연합우주사진부 #photography
@icekave@serafuku.moe
look foward
#사진토돈 #미스키사진부 #연합우주사진부 #photography
@icekave@serafuku.moe
일상속의 몽환
#사진토돈 #미스키사진부 #연합우주사진부 #photography
@layre@hoto.moe
안녕하세요, Layre입니다.
새로운 서비스로, Gone을 출시하였습니다.
연합우주 인스턴스 운영을 중단하게 되었을 때, 운영하던 도메인에 HTTP 410을 반환하는 서버를 구성해두어야만 하지만, 이는 인스턴스를 운영했던 분에게 번거롭고 부담스러운 작업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싶었습니다.
이번에 출시한 Gone 서비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줍니다.
운영하던 인스턴스 도메인에 CNAME으로 gone.layre.space을 추가해주시면(Cloudflare 이용자는 반드시 Proxy를 비활성화 하여야 합니다), 별도의 등록 절차나 구성 없이 HTTPS 인증서를 자동으로 발급받아 HTTP 410을 반환하도록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앞으로도 Layre.Space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kgupdt@hl.pkgu.net
선배 이메일 계정이 털려서 무료 스팸 발송 주소가 되었다 전산팀에게 차단 먹음.
아니 무슨 암호를 썼길래? 했더니 이메일 계정 이름 + 1234...
하하... 박사님도 별 수 없어...
@draco@pointless.chat
돌겠네.
회사 웹사이트 관리자 비밀번호, 해시값 봤더니
1234와 12345나 1234! 쓰는 사람이 7명이나 되네
qwer이나 q1w2e3r4 도 확인해볼까..;;;
@pkgupdt@hl.pkgu.net
사진 편집 할수록 sRGB 너무 좁다.
빨리 DCI-P3로 넘어가고 싶네.
@pkgupdt@hl.pkgu.net
스트리머 앵보가 러끼에게 낚여서 여자 아바타 끼게 된 듯.
아니 뭐 인기 있을 건 확실하지. ㅋㅋㅋㅋ
@atLuminon@byeolvit.space
솟아오른 노란빛.
📸 : SONY α6700, TTARTISAN APS-C 25mm F2
🏙️ : Gasan Digital Complex, Seoul, Korea Rep.
#사진토돈 #사진 #Photography #写真 #マストドン写真部 #Misskey写真部 #마스토돈사진부 #미스키사진부
@coniico@conii.co
A: 그건 저보고 자동차에서 액셀러레이터가 좋냐 브레이크가 좋냐고 물으시는거랑 비슷합니다. 상황에 맞게 판단하는걸 선호하고, 이념적으로 어느 한쪽을 계속 주장하는걸 비선호합니다.
https://neo-quesdon.serafuku.moe/main/user/@coniico@mastodon.conii.co/cmcei131dhjzrk70j99fjkrkz
#neo_quesdon
@campanula@qdon.space
이거 왜 진짠데 미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archen523@bakedbean.xyz
..네?
@unninni@daepi.so
🇮🇩에서 사업관련 최대한 겪은데로 나열하면
- 한국 중견-중소 사이 규모의 플랜트/조선업이 많이 넘어가 있습니다.
- 경공업이 발전되어 있는데 🇯🇵 => 🇰🇷 => 🇨🇳 스타일 공정으로 넘어가 있습니다.
- 규제나 제한이 지역마다 다릅니다.빡침
- 카르텔이 지역/섬 단위로 다 다릅니다. 2차 빡침
- 지정학적 위치상 🇨🇳의 대안생산기지로 강력하게 떠오르는데 관리 인력은 화교계+🇨🇳으로 경공업 발전 지역에서 갈등이 쌓이는 중.
- 물리 네트워크를 깔기 힘들어서 모바일에 몰빵했습니다. 스타링크 리셀링 여기서 하면 진짜 잘되겠다 싶습니다.
- 지정학적 여건상 호주-뉴질-마이크로네시아와 믈라카 해협 사이에 낀 자원지대 + 인구로 동네 깡패 일 것 같지만 대륙과 이어져있는 태국+말레이시아에게 살짝 밀려있습니다. 이걸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가 국가 과제입니다.
- 지진이랑 자연환경 덕분에 교통 인프라가 동북아에 비해 엉망진창인데 이것도 조금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 같은 원리로 지역별 영역이 명확해서 도시권하나가 하나의 국가라고 생각해도 될만큼 다릅니다. 그런 도시권 하나에 국제학교가 1-2개씩 있습니다.(수도권은 당연히 더 많고)
- 은근 영어 잘 통합니다.
더 자세한 건 다음 분들이.
@mashiro@mashi.ro
한컴위드, 라온시큐어, 이니라인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 AnySign4PC에서 취약점을 통해 내부 정보 수집 가능
- TouchEn nxKey에서 버퍼 오버플로우 및 원격 코드 실행 가능
- CrossEX에서 취약점을 통해 임의 라이선스 발급 가능
@tombzz@mastodon.social
@pkgupdt@hl.pkgu.net
요즘엔 하도 내부적으로 압축하는 파일들이 많아서 아카이빙은 그냥 tar로 한다.
... 나쁘지 않음.;
@pkgupdt@hl.pkgu.net
Darktable에 Velvia라는 모듈이 있다 ㅋㅋㅋㅋ
@pkgupdt@hl.pkgu.net
그래도 모바일 앱은 대부분 PWA로 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어차피 거의 다 JS로 짜는 앱이 굳이 별개 패키지를 쓸 이유를 모르겠음. 웹 브라우저의 감시 없이 뭔가를 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면...
같은 이유로 인앱 브라우저도 의심하고 왠만하면 안 씁니다.
@pkgupdt@hl.pkgu.net
Firefox가 PWA 관련 표준을 잘 지키긴 하는데, 정작 웹 앱들이 구글 크롬을 기준으로 개발하다보니... 참 점유율이 깡패지. -_-;
@pkgupdt@hl.pkgu.net
구글 크롬을 써 볼까 하고 한 이틀 써 봤는데 다시 파이어폭스로 복귀. 조금 더 빠른 부분들이 있지만 뭔가 반응 속도가 맘에 안 든다. 보안도 그렇고.
안드로이드 PWA 제외하고는 더 쓰지는 않을 듯.
@geeknews_bot@sns.lemondouble.com
어떤 문제를 풀 것인가 – 리처드 파인만 (1966)
------------------------------
파인만이 옛 제자에게 보낸 편지
- 파인만은 *진정 가치 있는 문제란 직접 풀거나 기여할 수 있는 것* 임을 강조하며, *작고 단순해 보이는 문제* 라도 자신이 직접 풀 수 있다면 충분히 의미 있다고 설명함
- *학생에게 스스로 해결하고 싶은 문제를 찾으라고 조언* 하며, 단순하거나 사소해 보여도 실제로 해답…
------------------------------
https://news.hada.io/topic?id=21663&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pkgupdt@hl.pkgu.net
구글 제미나이 너무 잘 쓰고 있어서 유료 플랜을 쓸 생각까지 든다.
2TB 스토리지까지 주니까 비싼 가격은 아닌데... 흠.
웹 검색 -> 바로 정리, 기능이 진짜 킬러 앱임. 조사-학습 시간이 로그 스케일로 줄어듬.
@nunosaki@nunosaki.net
雨の写真がなかったので雨上がりの写真を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