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 168 following · 131 followers

A hobbyist photographer, football fan and ex software engineer.

This account is for my personal records. I mostly post in Korean, but I can communicate in English and Japanese.

I use tags for my photo posts.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TypeScript로 백엔드 서버를 개발하면서 적절한 ORM 선택은 항상 중요한 결정 중 하나입니다. 최근 제 프로젝트에서 Drizzle ORM과 Kysely를 모두 사용해 볼 기회가 있었는데, 개인적으로는 Drizzle ORM이 더 편리하고 생산성이 높았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두 ORM에 대한 간략한 소개

Drizzle ORM은 TypeScript용 ORM으로, 타입 안전성과 직관적인 API를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스키마 정의부터 마이그레이션, 쿼리 빌더까지 풀스택 개발 경험을 제공합니다.

Kysely는 “타입 안전한 SQL 쿼리 빌더”로 자신을 소개하며, 타입스크립트의 타입 시스템을 활용해 쿼리 작성 시 타입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두 도구 모두 훌륭하지만, 제 개발 경험에 비추어 볼 때 Drizzle ORM이 몇 가지 측면에서 더 편리했습니다.

Drizzle ORM을 선호하게 된 이유

스키마 정의의 직관성

Drizzle ORM의 스키마 정의 방식은 매우 직관적이고 선언적입니다:

import { pgTable, serial, text, integer } from 'drizzle-orm/pg-core';

export const users = pgTable('users', {
  id: serial('id').primaryKey(),
  name: text('name').notNull(),
  email: text('email').unique().notNull(),
  age: integer('age')
});

Drizzle ORM은 이 스키마 정의로부터 자동으로 CREATE TABLE SQL을 생성할 수 있어, 스키마와 코드가 항상 동기화되어 있습니다.

반면 Kysely는 타입 정의에 더 중점을 두고 있어 스키마와 타입 정의가 분리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interface Database {
  users: {
    id: Generated<number>;
    name: string;
    email: string;
    age: number | null;
  };
}

이 타입 정의는 TypeScript 코드에서 타입 안전성을 제공하지만, 이 타입 정의만으로는 CREATE TABLE SQL을 생성할 수 없다는 것이 결정적인 단점입니다. 실제로 테이블을 생성하려면 별도의 SQL 스크립트나 마이그레이션 코드를 작성해야 합니다. 이는 타입과 실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간의 불일치 가능성을 높입니다.

Drizzle의 접근 방식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TypeScript 타입을 더 긴밀하게 연결해주어 개발 과정에서 혼란을 줄여주었습니다.

마이그레이션 경험

Drizzle ORM의 마이그레이션 도구(drizzle-kit)는 정말 인상적이었습니다. 스키마 변경사항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SQL 마이그레이션 파일을 생성해주는 기능이 개발 워크플로우를 크게 개선했습니다:

npx drizzle-kit generate:pg

이 명령어 하나로 스키마 변경사항에 대한 마이그레이션 파일이 생성되며, 이를 검토하고 적용하는 과정이 매우 간단했습니다.

반면 Kysely의 마이그레이션은 본질적으로 수동적입니다. 개발자가 직접 마이그레이션 파일을 작성해야 하며, 스키마 변경사항을 자동으로 감지하거나 SQL을 생성해주는 기능이 없습니다:

// Kysely의 마이그레이션 예시
async function up(db: Kysely<any>): Promise<void> {
  await db.schema
    .createTable('users')
    .addColumn('id', 'serial', (col) => col.primaryKey())
    .addColumn('name', 'text', (col) => col.notNull())
    .addColumn('email', 'text', (col) => col.unique().notNull())
    .addColumn('age', 'integer')
    .execute();
}

async function down(db: Kysely<any>): Promise<void> {
  await db.schema.dropTable('users').execute();
}

이러한 수동 방식은 복잡한 스키마 변경에서 실수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특히 큰 프로젝트에서는 작업량이 상당히 증가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Kysely의 마이그레이션에도 두 가지 중요한 장점이 있습니다:

  1. TypeScript 기반 마이그레이션: Kysely의 마이그레이션 스크립트는 TypeScript로 작성되기 때문에, 마이그레이션 로직에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통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3와 같은 오브젝트 스토리지의 데이터도 함께 마이그레이트하는 복잡한 시나리오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반면 Drizzle ORM은 SQL 기반 마이그레이션이므로 이러한 통합이 불가능합니다.

  2. 양방향 마이그레이션: Kysely는 updown 함수를 모두 정의하여 업그레이드와 다운그레이드를 모두 지원합니다. 이는 특히 팀 협업 환경에서 중요한데, 다른 개발자의 변경사항과 충돌이 발생할 경우 롤백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Drizzle ORM은 현재 업그레이드만 지원하며, 다운그레이드 기능이 없어 협업 시 불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Python 생태계의 SQLAlchemy 마이그레이션 도구인 Alembic은 훨씬 더 발전된 형태의 마이그레이션을 제공합니다. Alembic은 비선형적인 마이그레이션 경로(브랜치포인트 생성 가능)를 지원하여 복잡한 팀 개발 환경에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상적으로는 JavaScript/TypeScript 생태계의 ORM도 이러한 수준의 마이그레이션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관계 설정의 용이성

Drizzle ORM에서 테이블 간 관계 설정이 매우 직관적이었습니다:

import { relations } from 'drizzle-orm';

export const usersRelations = relations(users, ({ one, many }) => ({
  profile: one(profiles, {
    fields: [users.id],
    references: [profiles.userId],
  }),
  posts: many(posts)
}));

이 방식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본질적인, 관계적인 측면을 명확하게 표현해주었습니다.

쿼리 작성의 편의성과 동일 이름 칼럼 문제 처리

두 ORM 모두 쿼리 작성을 위한 API를 제공하지만, Drizzle의 접근 방식이 더 직관적이고 관계형 모델을 활용하기 쉬웠습니다:

// Drizzle ORM - db.query 방식으로 관계 활용
const result = await db.query.posts.findMany({
  where: eq(posts.published, true),
  with: {
    user: true  // 게시물 작성자 정보를 함께 조회
  }
});

// 결과 접근이 직관적이고 타입 안전함
console.log(result[0].title);       // 게시물 제목
console.log(result[0].user.name);   // 작성자 이름 - 객체 구조로 명확하게 구분됨
console.log(result[0].user.id);     // 작성자 ID - 게시물 ID와 이름이 같아도 문제 없음

// Kysely
const result = await db
  .selectFrom('posts')
  .where('posts.published', '=', true)
  .leftJoin('users', 'posts.userId', 'users.id')
  .selectAll();

// 결과 접근 시 칼럼 이름 충돌 문제
console.log(result[0].id) // 오류: posts.id와 users.id 중 어떤 것인지 모호함
console.log(result[0].name) // 오류: 둘 다 name 칼럼이 있다면 모호함

Drizzle의 접근 방식이 테이블과 컬럼을 참조할 때 타입 안전성을 더 강력하게 보장하고, 관계를 활용한 쿼리 작성이 더 직관적이었습니다.

특히 여러 테이블 조인 시 동일한 이름의 칼럼 처리 부분에서 Drizzle ORM이 훨씬 더 편리했습니다. 이는 제 개발 경험에서 가장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였습니다.

// Drizzle ORM - 동일 이름 칼럼 처리
const result = await db.query.posts.findMany({
  with: {
    user: true  // posts.id와 users.id가 모두 있지만 자동으로 구분됨
  }
});

// 결과에 자연스럽게 접근 가능
console.log(result[0].id);        // 게시물 ID
console.log(result[0].user.id);   // 사용자 ID - 명확하게 구분됨
console.log(result[0].user.name); // 사용자 이름

// Kysely - 동일 이름 칼럼 처리를 위해 별칭 필요
const result = await db
  .selectFrom('posts')
  .leftJoin('users', 'posts.userId', 'users.id')
  .select([
    'posts.id as postId',       // 별칭 필수
    'posts.title',
    'posts.content',
    'users.id as userId',       // 별칭 필수
    'users.name as userName',   // 칼럼 이름이 같을 수 있으므로 별칭 필수
    'users.email as userEmail'  // 일관성을 위해 모든 사용자 관련 칼럼에 접두어 필요
  ]);

// 별칭을 통한 접근
console.log(result[0].postId);    // 게시물 ID
console.log(result[0].userId);    // 사용자 ID
console.log(result[0].userName);  // 사용자 이름

Drizzle ORM은 테이블과 칼럼을 객체로 참조하기 때문에, 동일한 이름의 칼럼이 있어도 자연스럽게 계층 구조로 처리되며 타입 추론도 정확하게 작동합니다. 반면 Kysely에서는 문자열 기반 접근 방식 때문에 별칭을 수동으로 지정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고, 복잡한 조인에서 이런 작업이 번거로워졌습니다. 특히 여러 테이블에 같은 이름의 칼럼이 많을수록 모든 칼럼에 명시적인 별칭을 지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또한 Drizzle ORM은 결과 타입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추론해주어 별도의 타입 지정 없이도 안전하게 결과를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Kysely의 장점

물론 Kysely도 여러 강점이 있습니다:

  1. 더 가벼운 구조: 필요한 기능만 포함할 수 있는 모듈화된 구조
  2. SQL에 더 가까운 접근: SQL 구문에 매우 충실한 API 설계
  3. 유연성: 복잡한 쿼리에서 때로 더 유연한 작성이 가능

또한 앞서 언급했듯이, Kysely의 TypeScript 기반 마이그레이션과 양방향(up/down) 마이그레이션 지원은 특정 상황에서 Drizzle ORM보다 우위에 있는 기능입니다.

SQLAlchemy와의 비교 및 앞으로의 기대

JavaScript/TypeScript 생태계의 ORM을 이야기하기 전에, 여러 언어 중에서도 Python의 SQLAlchemy는 특별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개인적으로 여태 사용해본 다양한 언어의 ORM 중에서 SQLAlchemy가 가장 기능이 풍부하고 강력하다고 느꼈습니다. 복잡한 쿼리 구성, 고급 관계 매핑, 트랜잭션 관리, 이벤트 시스템 등 SQLAlchemy의 기능은 정말 방대합니다.

Drizzle ORM은 JavaScript 생태계에서 매우 인상적인 발전을 이루었지만, 아직 SQLAlchemy의 경지에는 이르지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부분에서 SQLAlchemy의 성숙도와 기능 풍부함이 돋보입니다:

  • 복잡한 서브쿼리와 윈도우 함수 지원
  • 다양한 이벤트 리스너와 훅
  • 다양한 상속 전략
  • 복잡한 트랜잭션 관리와 세션 관리
  •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검증된 안정성
  • Alembic을 통한 비선형적 마이그레이션 지원
  • 놀라울 정도로 방대하고 상세한 문서화

결론

두 ORM 모두 훌륭한 도구이지만, 제 개발 스타일과 프로젝트 요구사항에는 Drizzle ORM이 더 잘 맞았습니다. 특히 스키마 정의의 직관성, 강력한 마이그레이션 도구, 그리고 전반적인 개발자 경험 측면에서 Drizzle ORM이 더 생산적인 개발을 가능하게 해주었습니다.

동일 이름 칼럼 처리와 같은 실질적인 문제에서 Drizzle ORM의 객체 기반 접근 방식이 가져다주는 편리함은 실제 프로젝트에서 큰 차이를 만들었습니다.

ORM 선택은 결국 프로젝트 특성과 개인 선호도에 크게 좌우됩니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한다면 두 도구 모두 간단히 테스트해보고 자신의 워크플로우에 더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지만, 제 경우에는 Drizzle ORM이 명확한 승자였습니다.

앞으로 Drizzle ORM이 더욱 발전하여 SQLAlchemy 수준의 풍부한 기능과 유연성을 제공하게 되길 바랍니다. JavaScript/TypeScript 생태계에도 그런 수준의 강력한 ORM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다행히도 Drizzle ORM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으며, 그 발전 속도를 보면 기대가 큽니다.

여러분의 경험은 어떤가요? 다른 ORM 도구나 언어를 사용해보셨다면 의견을 공유해주세요!

Ch. :animal_feed_trickcal:'s avatar
Ch. :animal_feed_trickcal:

@sftblw@lake.naru.cafe

news.hada.io/topic?id=19791
github.com/suitenumerique/docs

노션 / Outline 대체제...인데
프랑스 정부 + 독일 정부 의 오픈소스
(??!?!?!)

django, typescript

- DINUM (프랑스 정부 공공기관)
- ZenDiS (독일 정부가 전적으로 소유한 GmbH)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 Reply to pkg update's post

패션이 중요한 카메라니 그에 대한 대응도 해 줘야겠지... 근데 그럴거면 하이브리드 뷰파인더도 좀 넣어주지. ㅎㅎ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후지 GFX100 RF는 굉장히 클래식한 카메라가 될 거 같은데, 어차피 그거 5천불 주고 살 고객들은 오히려 좋아할지도... 하지만 크롭 레버를 다는 건 결국 jpeg 머신으로 쓰라는 건데, 흠.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사진들 정리하고 배포용 리사이즈 만드는 스크립트들도 배포할까... 쓸모 있는 사람이 있으려나. 흠.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프로필 사진을 변경하고 헤더 사진도 걸었습니다. ㅎㅎ

생체 원자로 :pointless_verified:'s avatar
생체 원자로 :pointless_verified:

@Native@pointless.chat

프로톤 VPN이 RAM 전용 서버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 blog.native.cat/post/48

에스텔 뉴스계정's avatar
에스텔 뉴스계정

@transborder.bsky.social@bsky.brid.gy

혐한단체의 얼간이들이 일본에 잘 정착해 살고 있는 재일동포들의 면전에서 “너희 나라로 돌아가”라는 막말을 던질 때, 일본 내 양심세력과 함께 다 같이 분노했던 우리였다. 하지만 지금은 우리 중 누군가가 화교를 상대로 똑같이 하고 있다. 2025-03-15 05:56 www.lawtimes.co.kr/opinion/2063...

중국인이 뭐 어때서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NJZ(() NewJeans)가 말아주는 〈I FEEL COKE〉. 이 ()原曲(원곡)元來(원래) 80年代(년대) 日本(일본)의 Coca-Cola 廣告(광고)에 처음 쓰였고, 그 뒤에 韓國(한국)의 Coca-Cola 廣告(광고)에서도 90年代(년대) ()歌詞(가사)飜案(번안)하여 再使用(재사용)되었다. 어떻게 이렇게 昭和(쇼와) 末期(말기)의 느낌을 살리면서도 現代的(현대적)으로 解釋(해석)해낼 수 있는지… 참으로 卓越(탁월)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ZnVjY60qF60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테슬라가 불매운동 맞은 건 "일론 차"였기 때문인데 그 대응책이 "트럼프 차" 되기라니...

이번 미국 정부의 핵심들이 저짝이라, 뭘 기대해도 그 이하를 보여줄 거 같다.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K리그 광주 FC가, 1차전 2대0 패배를 딛고 J리그 빗셀 고베를 홈 2차전에서 연장전 끝에 3대0으로 격파, 아챔 8강에 역전 진출했습니다! 축하합니다!!

와 진짜 그렇게 선수들 내보내고도... 대단하다, 정효볼. 클래스가 다르다.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광주 FC, 홈에서 3골을 터트리며 역전으로 아챔 8강 진출! 축하합니다!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헐 PS2EXE로 실행파일 만들었더니 디펜더가 트로쟌 진단을 해서 차단을 하네.;;

아니 물론 그런? 용도로 많이 쓰긴 하겠지만 로컬 빌드에도 저러냐 참. ㅋㅋㅋ;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유튜브에서 즐겨 보는 사진가가, 1. 단렌즈보다는 줌렌즈, 2. 광각은 돈 들이더라도 밝은 렌즈, 3. 망원은 어둡더라도 가볍고 싼 렌즈를 추천한다고 했었는데 이해가 가는 부분이 있음.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 Reply to pkg update's post

사실 그래서 24-105보다는 가볍고 작은 24-70 F4를 기다리는데, 정작 나온 건 28-70 F2.8 ㅋㅋㅋ; 아니 나쁜 렌즈는 아니고 작긴 한데, 비싸요. T_T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캐논이 RF 렌즈 상품권 이벤트를 시작했고, 85mm 현금 가격도 나쁘지 않은데,

흠... 나에게 28, 50 외에 렌즈가 더 필요한가? 라는 의문이 들기 시작했다.;; 이전 85mm 도입은 박물관, 포트레이트용이었는데 이게 실전?에서는 50mm로도 대부분 대응이 되더란 말이지.

망원이 하나 있으면 좋긴 한데, 지금 굳이 사야 하나? 싶음... 흠. 40mm도 하나 있으면 좋겠는데 그건 내가 마포 20.7 대응품을 원하기 때문이고 50.8이 있는 이상 막상 나오면 그 것도 필요한가? 할 거 같기는 함. ㅎㅎㅎ;

드라코's avatar
드라코

@draco@pointless.chat

“트럼프 방어선에 한국과 대만은 없을 것”...美안보 전문가의 냉정한 지정학 분석

n.news.naver.com/mnews/article

"우리는 동맹국이란 말이야 이 정신병자야"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인터넷에 올리는 Alt 텍스트는 시각 정보 접근 혹은 인식이 불편한 분들에게 정보를 제공한다는 목적으로는 자세히 올리는 게 맞는데, 어떤 면에서는 AI 트레이닝 정보도 되는지라 그 수준이 언제나 고민이다. 여행 사진은 대충 위치랑 객체들 적는 수준으로 하고 있는데...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https://blog.naver.com/1967jk/223792293290

운동회 찍는 부모 수요에서 개인 컨텐츠 크리에이터 수요로의 변화라... 일본에서는 그렇게 받아들일 수도 있겠네. 전자의 수요는 이제 거의 스마트폰으로 이동했으니까. 심지어 결혼식에서도 아이폰 스냅이 유행하기도 하고.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구속기간 산정 관련

https://www.news1.kr/society/court-prosecution/5715917

대검이 구속기간 산정에 대해 종전 관례대로 처리하라고 일선청에 공문을 내려 보냈다고.

너랑 대통령이 같냐? 어디서 감히 같은 대우를 바라?

를 공문으로 보내다니...

법은 모든 국민에게 평등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고 하는 기관은 그 존재 가치가 없다.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RF 24-105 F4L은 RF 마운트 전개와 동시에 발매된 렌즈인데, 아직 준수하지만 경량화한 리뉴얼이 필요한 게 아니냔 의견이 친캐논 홍보맨에게서도 나옴. R8에게는 약간 무겁긴 하지.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 Reply to pkg update's post

다른 리뷰어가 28, 50, 85 단렌즈 3개를 사는 게 더 싸고 더 망원에 화질도 더 좋을 것이라고 한 적이 있는데, 이 렌즈의 한계점을 정확히 지적한 거였구나 싶다. 사실 줌렌즈 리뷰 하면서 단렌즈들 사라는 이야기는 보통은 안 하지...;

드라코's avatar
드라코

@draco@pointless.chat

아이유 + 박보검 - 산골 소년의 사랑 이야기(예민) [가요무대/Music Stage] | KBS 250310 방송
youtube.com/watch?v=7nGdpHQ0Uc

이거 누가 기획한거야. 상 줘야해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https://opticallimits.com/canon/canon-rf/canon-rf-28-70mm-f-2-8-is-stm-review/

내가 신뢰하는 opticallimits.com에서 RF 28-70mm F2.8을 리뷰.

망원단 코너부의 화질 문제와 침동식 구조, 그리고 너무 비싼 가격으로 인해 박한 점수가 나왔음. 자동 디지털 보정에 부정적이었던 기존 입장에서 유화적으로 변했음에도 이 정도라, 외국 포럼에서도 QA 문제 - 즉 그 리뷰 샘플의 문제 아니겠냐는 의견들이 나올 지경. 하지만 망원단 화질은 다른 리뷰들에서도 지적되던 부분이라 그럴 가능성은 적은 듯.

결국 70mm를 인물용으로 쓸 거냐, 풍경용으로 쓸 거냐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는 이야기. 인물용으로 쓴다 해도 가성비 나쁜 렌즈인 점은 변함이 없고.

내 생각에는 고정 F2.8을 무리해서 유지했다는 느낌. F2.8-4 렌즈였어야 하지 않았을까. 근데 그럼 보케용으로 비싸게 팔지 못하니까 고정 조리개로 밀어붙인 듯. 어휴 그 놈의 보케. ㅋㅋㅋ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캡쳐원 트라이얼 써 보고 있는데, 흠... 좋기는 한데... 뭔가가 좀 부족하면서도 지나친 느낌이...; 기본 컬러 프로필은 좋은데.;;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가수 휘성씨가 돌아가셨다고.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너무 일러서 안타깝다...

드라코's avatar
드라코

@draco@pointless.chat

[단독] 'p 발음 금지' 공문 뿌린 삼성전자…파운드리 사업부 경영진단 검토

n.news.naver.com/mnews/article

메일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파운드리의 발음기호는 [faundri]로, 'p'와 'f'발음을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며, "사업부 명칭이 통일되지 않아 고객들이 혼란을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파운드리 사업부의 영어 명칭은 'Foundry business'"라며, "한글로 된 사업부 명칭은 표기하지 말라"는 지침도 제시했다.

사내 보고 및 대내외 문서에 한글 명칭 '파운드리'를 사용하지 말라는 지침에 따라 공지 이후에는 영문 명칭 'foundry'만 사용이 가능하다.

....니들이 지금 그런거 따질 여유가 있냐?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콘클라베는 소설을 봤더니, 영화로 다시 볼 생각은 안 드네...

영화 잘 찍었다고는 하는데, 결론을 다 알고 보기엔 좀. ㅎㅎㅎ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 Reply to pkg update's post

거 하는 김에 RF 40mm F2.8 STM(팬케이크)도 내놓아라, 캐논. ㅋㅋ

pkg update's avatar
pkg update

@pkgupdt@hl.pkgu.net

https://www.canonrumors.com/canons-retro-eos-re-1-what-to-expect-later-this-year/

캐논의 레트로 카메라는 RE-1이라는 이름일 것이며, R8 센서와 엔진에 IBIS를 추가하고 니콘 Zf 가격대로 올해 말 경에 나올 것이라고. R8 - RE-1 - R6M3로 24MP 풀프 라인업을 구성한다는 이야기인데, Zf에 비하면 너무 늦게 나오는 거 아닌가 싶다.

뭐, 나오면 잘 팔리긴 하겠지만 배터리는 좀 큰 거 넣어줘라... + RE-1용으로 작고 싼 단렌즈 라인업도 리뉴얼 해주면 좋지.

← Newer
Old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