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kg update
@pkgupdt@hl.pkgu.net · Reply to pkg update's post
근데 저러면 내 구성 중에 가장 샤프한 렌즈는 RF 28mm F2.8인가. ㅋㅋㅋ 진짜 찍어보면 잘 나오긴 하더라.;
@pkgupdt@hl.pkgu.net · 166 following · 131 followers
A hobbyist photographer, football fan and ex software engineer.
This account is for my personal records. I mostly post in Korean, but I can communicate in English and Japanese.
I use #photo #photography #사진 #写真 tags for my photo posts.
@pkgupdt@hl.pkgu.net · Reply to pkg update's post
근데 저러면 내 구성 중에 가장 샤프한 렌즈는 RF 28mm F2.8인가. ㅋㅋㅋ 진짜 찍어보면 잘 나오긴 하더라.;
@pkgupdt@hl.pkgu.net
흠, 그럼 내 RF 렌즈군의 미래?는 RF 16-28mm F2.8, 24-50 번들, 28mm F2.8, 50mm F1.8, 70-150mm F2.8 정도로 구성되려나. 마크로 렌즈, 35-40mm대 단렌즈 둘 정도 더 추가할지도.
@pkgupdt@hl.pkgu.net · Reply to pkg update's post
F2.8 STM 트리니티 중에서는 산다면 아마 광각과 망원을 사지 않을까 싶음. 표준이 퀄리티에 비해서 좀 비싼 측면이 있어서...
@pkgupdt@hl.pkgu.net
https://www.canonrumors.com/canon-rf-70-150mm-f-2-8-is-stm-coming-to-complete-the-trilogy/
RF 70-150mm f/2.8 IS STM 루머가 떴다. 올해 4사분기에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트리니티 둘과 비슷하게 150만원대면 70-200 F4L과 가격대가 겹치는 부분이 있는데 얼마일지 궁금하네. 침동식에 더 가볍다는 점으로 어필하려나.
나 개인적으로는 기다리고 있는 렌즈라 빨리 나왔으면 좋겠다. 어쨌든 아주 잘 팔릴 렌즈니 안 나오지는 않을 듯.
@cosmic_elevator@uri.life
‼️ 연합분들 주목 ‼️
서울대학교 강성윤 선생님께서 마르크스경제학 개설 투쟁의 일환으로 비공식 무료 정치경제학원론 수업을 여신다고 합니다!
서울대 구성원뿐만 아니라 시민들 누구나 수강 가능하다고 합니다 연합분들도 오세요
오프라인 수업은 서울대에서 들을 수 있고, 온라인 수업도 병행하신다고 하니 참여... 해야겠죠...?
@pkgupdt@hl.pkgu.net
토트넘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1월 이적시장 끝나자마자 리그는 놓고 유로파 우승에 올인한다 결정하고 밀어붙였다고.
우승컵 없이 이 팀은 바뀌지 않는다, 리그 3위 하면 뭐가 바뀌냐 라니 이 세상 배짱이 아니네 진짜;;
@pkgupdt@hl.pkgu.net
후지 X Half는 기믹 다 뺀 염가판이 나오면 재미있을듯 한데, 싸게는 안 팔겠지. ㅎㅎ;
@jejuorange.bsky.social@bsky.brid.gy
@womenlink.or.kr@bsky.brid.gy
오타쿠라도 페미가 하고 싶어😍🫣 💬나의 덕질분야와 여정 소개, 덕질과 젠더, 섹슈얼리티에 대한 토크, "그럼에도 우리가 덕질을 하는 이유" 토크 목크룸_목요일 다크룸 읽기🖤🎭 💬『다크룸』함께 읽기, 관련주제로 영화도 같이 보고 뒤풀이도 함께 하기 신청은 여기서! 여러분 소모임에서 만나요😍 womenlink.or.kr/member_activ... 아직 민우회원이 아니시라면 회원가입도 하시고, 소모임도 해보시면 어떨까요? 😉 womenlink.or.kr/donations
@heka@baram.me
@Tabisuru@misskey.io
京都鉄博行ったら偶然遭遇
これが、「幸せ」ってやつか……💛
#misskey鉄道写真部
@pkgupdt@hl.pkgu.net
포스테코글루 감독이 옳은 선택을 했네. 손흥민 선발은 무리지...
@pkgupdt@hl.pkgu.net
https://blog.naver.com/1967jk/223871992538
니콘이 Z5II 가성비로 캐논은 물론 소니도 제치고 풀프 미러리스 일본 판매량 1위를 차지했다고. 신제품 투입을 미적대고 있던 소캐에게 폭탄이 떨어졌는데 과연 어찌 나올지...
장기적으로 캐논은 R8M2, 소니는 A7 염가형에 대한 고민이 깊어질 듯. 넣기만 하면? 되는 캐논에 비해 소니는 A7M5와 A7C2 사이를 찔린 셈이라 대응책이 마땅치가 않다. 일단 A7M3 가격을 후려치기엔 공급망, 관세 문제가 있으니까.
@pkgupdt@hl.pkgu.net
파나소닉은 그린 채널 감마가 커서, 미색 컨트롤이 잘 안 됨. 컨트라스트 높은 사진은 잘 나오고 회사 컬러 사이언스 특성이지만 가끔 옮길까 하다가도 그냥 있자, 하는 가장 큰 요인.
색감은 컬러 프로필로 만들 수 있다지만 색 정책은 센서 특성에서부터 시작이라 본인의 취향이 있다면 jpeg 색감 맘에 드는 거 쓰는 게 여러모로 유리합니다.
내가 좋아하는 색감은 니콘이지만 여러 이유로 캐논으로 왔고 그럭저럭 만족하고 있음. 소니는 색감이 아니라 조작성 때문에 갈 생각이 없고 하니 꽤 오래 있을 듯.
@pkgupdt@hl.pkgu.net · Reply to pkg update's post
지금은 그냥 캐논 풍경 (어?) 아저씨야... ㅋㅋㅋ 점수 딸 사람도 없네. 😇
@pkgupdt@hl.pkgu.net
코닥 DSLR은 써보지 않았지만, 그에 가장 가깝다는 평을 듣는 코닥제 CCD를 탑재한 올림푸스 E-1을 오래 썼다.
지금도 그 마젠타 캐스트는 기억에 남아 있음. 이상하게 색이 틀어지는데 그게 참 보기 좋았지. 피부톤 예쁘게 뽑혀서 점수? 좀 땄었다. ㅎㅎㅎ
@pkgupdt@hl.pkgu.net · Reply to 가배's post
@icekave 그렇죠. 딱 그 정도 크기면 좋을 거 같아요.
@pkgupdt@hl.pkgu.net · Reply to 가배's post
@icekave OVF를 탑재하는 이상 RF 비슷하게 되긴 하는데 X100 시리즈가 너무 노린 감은 있지요. 😅 저는 X-M5에 관심이 있었는데 그렇게 작지는 않아서 아쉬웠습니다. GR 같은 모델도 있었으면 좋겠네요.
@pkgupdt@hl.pkgu.net
후지필름 필름 시뮬레이션 관련 가장 무서웠던 얘기는, 필름 재현이 X(aps-c)에서는 한계가 있고 GFX 중형에서 잘 되었다는 후지 엔지니어의 인터뷰였다. 음... 차라리 35mm 필름 카메라 운영하는 게 더 쌀 수도 있겠다 싶은 가격... 😇
@pkgupdt@hl.pkgu.net · Reply to 가배's post
@icekave 아 그렇게 볼 수도 있겠네요. 확실히 필름 시뮬레이션 이 정도 있으면 됐지, 라는 태도가 보이긴 합니다.
@pkgupdt@hl.pkgu.net · Reply to 가배's post
@icekave 후지필름은 디지털로 이어지고 있는데, 디지털 카메라의 기원인데도 코닥 색감이 그러지 못한 건 참 아쉽네요.
@icekave@serafuku.moe
최근에는 필름 사진을 거의 못찍은 것 같아서...
예전 사진이라도 다시 올려보기
@pkgupdt@hl.pkgu.net
The entrance of the Museum of Cycladic Art, Athens, Greece.
@pkgupdt@hl.pkgu.net
백운동 원림 대나무숲 사진은 일단 이걸로 하자.
@pkgupdt@hl.pkgu.net
보는 나, 찍는 나, 보여지는 나.
사진은 결국 주관 표현이구나 싶다.
@draco@pointless.chat
과일 쳐다보고 안 샀다고 욕한 경동시장 상인… "살 것처럼 굴었잖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1078190?sid=102
말 안걸고 물건구경 편하게 해줘야 젊은 사람들이 오지... 장사할 줄 모르는 인간이네.
@draco@pointless.chat · Reply to 드라코's post
80년대에 모나미 볼펜이 힘을 발휘했던 이유를 따지고 보면, 그때 흔히 쓰는 종이가 대부분 하얀 종이가 아니라 회색의 갱지(요즘은 신문에서나 쓰는 종이)였기 때문일듯.
요즘 신문용지에 비해서도 아주 조악해서 구멍 나 있고, 표면도 불규칙했음.
연필보다는 진하고 연필만큼 싸면서, 품질 나쁜 종이에 잘 써지고, 아무데나 막 굴릴 수 있는 볼펜이 필요했다.
@draco@pointless.chat
요즘 가끔 모나미볼펜이 전설의 명기쯤 취급하는 글이 가끔 보이는데
개인적으로 80~90년대초에 저걸 지겹게 썼던 기억에는 ...그냥 쓸게 저거 밖에 없어서 쓴거에 가까운데
좀 눌러서 써야 잘 써지고, 선 두께와 진하기도 애매하고, 종종 끊겨서 나오고.
다만 처음 불량만 아니면, 고장이 잘 안나고, 싸고, 구조가 간단해서 쉽게 수리되고, 몸통은 녹여서 각종 생활용품 수리나 몽당연필 홀더로 쓰고 그랬지.
@pkgupdt@hl.pkgu.net
캐논 RF 75-300은 살까 말까... 품질은 구릴 게 확실한데, 30만원이라는 가격이 날 유혹한다. ㅋㅋㅋ
@pkgupdt@hl.pkgu.net · Reply to pkg update's post
빌트록스 단렌즈군이 RF로도 나온다는 루머가 있는데, 50mm F2 관심있게 보고 있음.